Word

STOP

지식마당

Welcome to our website.....

상여가(喪輿歌)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최고관리자
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5-08-08 06:26

본문

상여가(喪輿歌)

상여가(喪輿歌)

상여가(喪輿歌)는 전통 장례에서 상여(관을 운구하는 수레)를 메고 갈 때 부르던 민속 노래로, 망자를 애도하고 혼을 잘 보내주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. 지역과 전승자에 따라 가사가 조금씩 달라지며, 대부분은 즉흥성과 반복을 가지며, 구슬픈 느낌을 줍니다.
 

대표적인 상여가 전문 (경상도 지역, 구전 형식)

※ 아래는 대표적으로 알려진 전통 상여가 중 하나의 예입니다. 전통적으로는 멜로디에 맞춰 구슬프게 길게 늘여 부릅니다.

 

상여가 전문 예 (전통 구전 정리본)

 

에헤야 데야 에헤야 데야
상여를 메고 간다 에헤야 데야
이내 상전 가시는 길이
저승길이 구비구비 험하구나

흰 상복은 눈물 옷이요
검은 띠는 애통한 띠라
절절이 울며 가노라니
가는 이여 뉘우시리오

흘러가는 저 강물은
우리 상전 눈물인가
울어라 새야 울어라 새야
우리 상전 잠드신다

저기 저 산 넘어
하늘로 오르시니
꽃상여는 구름 따라
서천길을 가신다

에헤야 데야 에헤야 데야
이 길로만 잘 가시게
뒤에 남은 자식들은
눈물로 제사 지내리다

에헤야 데야 에헤야 데야
영영 못 뵈올 님이시여
한 많은 이 세상
훌훌 털고 가시게나

   

상여가의 구성 요소

  • 후렴구 반복: “에헤야 데야”처럼, 운율감 있는 후렴이 반복됨.

  • 자연물 비유: 강물, 구름, 새, 바람 등을 통해 슬픔을 은유함.

  • 죽은 이를 추모: 고인을 존중하며 혼의 안식을 기원함.

  • 공동체 슬픔 표현: 모두 함께 부르며 슬픔을 나눔.

 
전라도식 상여가도 지역 특유의 멜로디와 가사, 부르는 방식이 다소 다릅니다. 전라도는 판소리의 본고장답게 상여가에도 판소리 창법이나 서사적 요소가 많이 섞여 있어 더 길고 서정적인 특징이 있습니다.
 

전라도식 상여가 특징

  • 판소리 창법과 비슷한 긴 장단과 끌어내는 음색

  • 가사가 비교적 길고 서사적, 상황 묘사가 풍부함

  • 고인의 삶과 가족의 애절한 마음, 저승길 풍경 등을 묘사

  • 상여 행렬의 분위기와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

  • 무거운 장단 속에서 리듬의 변주가 많고, 느리고 구슬픈 느낌

 

전라도식 상여가 전문 예시

               
에헤야 데야 에헤야 데야 저 하늘 구름도 슬피 우는구나 한 많은 님을 보내는 이 길이 구비구비 험하구나 하늘가에 밝은 별빛 아래서 님 넋 달래어 보내오리라 눈물로 적신 흰 수건 들고서 길가에 서서 울었네 돌아가시는 님의 발걸음은 산 넘어 저 멀리 사라지고 남은 자식들의 눈물은 강물 되어 흐르네 에헤야 데야 에헤야 데야 저승길로 편히 가시게나 마지막 길 손잡고 걸으며 이 마음 다해 고이 보내드리오 멀리 멀리 저기 가는 길이 천 길 만 길 구비구비라 님 혼이 바람 따라 날아가면 별이 되어 빛나리라 길 가는 사람들 모두가여 한 마디 위로 해주오소서 님 떠난 이 빈자리가 가슴에 깊이 사무치오 에헤야 데야 에헤야 데야 영영 못 뵈올 님이시여 한 많은 이 세상 훌훌 털고 저 세상으로 가시게나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