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산이란?
페이지 정보

본문
화산(Volcano)
지각 내부 깊은 곳(맨틀)에서 발생한 마그마(magma) 가 지표로 분출하면서 생긴 지형 또는 현상.
화산은 주로 판의 경계(수렴·발산) 또는 열점(Hot spot) 지역에서 나타납니다.
화산 폭발 관련 기본 개념
-
마그마 (Magma)
지하 깊은 곳의 고온·고압 상태에서 녹아 있는 암석. 가스와 결정이 포함됨. -
용암 (Lava)
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한 것. 온도는 보통 700~1,200℃. -
화산가스 (Volcanic gases)
수증기(H₂O), 이산화탄소(CO₂), 이산화황(SO₂), 황화수소(H₂S) 등이 주요 성분. 폭발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. -
분화구 (Crater)
화산이 폭발하며 만들어진 중심의 구멍. -
화구 (Vent)
마그마가 지표로 분출되는 통로. -
칼데라 (Caldera)
대규모 폭발 후 화산체 상부가 붕괴해 형성된 거대한 함몰 지형. (예: 미국 옐로스톤, 일본 아소산) -
화산쇄설물 (Pyroclastic materials)
폭발 시 뿜어져 나온 암석 파편 → 화산재(ash), 화산탄(bomb), 화산력(lapilli) 등으로 구분.
폭발 양상 관련 용어
-
분출(Eruption)
마그마, 가스, 화산재 등이 분출되는 현상.-
분화(噴火) 라고도 함.
-
-
스트롬볼리식 분화 (Strombolian eruption)
주기적으로 폭발하며 용암 분출. 비교적 규모가 작음. -
플리니식 분화 (Plinian eruption)
거대한 화산재 기둥을 수십 km 높이까지 뿜어올림. 매우 파괴적. (예: 베수비오 화산, 79년) -
화산쇄설류 (Pyroclastic flow)
초고온(수백 ℃)의 화산재, 가스, 암편이 산 사면을 따라 빠르게 흘러내리는 치명적인 현상. -
용암류 (Lava flow)
끈적이거나 묽은 용암이 흘러내리는 현상. 점성이 낮을수록 멀리 흘러감(예: 하와이 화산).
⚡ 관련 자연현상 용어
-
라하르 (Lahar)
화산재가 빗물·빙하와 섞여 흘러내리는 토석류. 강력한 파괴력을 가짐. -
화산재 구름 (Ash cloud)
미세한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퍼져 항공기 운항, 기후 변화에 영향. -
화산섬 (Volcanic island)
해저 화산 활동으로 바다 위에 솟아오른 섬. (예: 하와이, 제주도) -
열점(Hot spot)
판의 경계와 상관없이 맨틀의 뜨거운 기둥(맨틀 플룸) 위에서 발생하는 화산 활동 지역.
정리하자면,
화산은 지하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는 지질현상이며, 그 과정에서 용암, 화산가스, 화산재, 화산쇄설류, 라하르 등 다양한 폭발 현상과 지형이 형성됩니다.
- 다음글노란봉투법 최근 국회 통과 및 향후 일정 25.08.29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