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ealing

STOP

Healing

Welcome to our website.....

원앙새(鴛鴦, Mandarin duck, Aix galericulata)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최고관리자
댓글 0건 조회 128회 작성일 25-09-08 01:04

본문

원앙새(鴛鴦, Mandarin duck, Aix galericulata)


원앙새(鴛鴦, Mandarin duck, Aix galericulata)

 


원앙새

  • 학명: Aix galericulata

  • 분류: 기러기목(Anseriformes), 오리과(Anatidae)

  • 분포: 동아시아(한국, 중국, 일본, 러시아 극동)와 시베리아 일부. 번식 후 일부는 중국 남부·대만 등지로 월동.

  • 한국: 텃새 또는 겨울철새로 분류되며,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음.



생태적 특징

1. 외형

  • 수컷: 번식기에 특히 화려합니다. 붉은 부리, 뚜렷한 흰 눈가 선, 머리에 초록·보라빛이 섞인 긴 깃털, 등 양옆에 부채 모양의 주황색 ‘돛깃’(secondary feathers)이 특징.

  • 암컷: 갈색·회색 계열의 몸색에 흰 눈 주위의 고리무늬가 있어 수컷보다 수수한 편.


2. 서식지

  • 강, 호수, 늪지, 저수지 등 물가와 가까운 숲을 좋아함.

  • 번식기는 보통 큰 나무 구멍(수목의 옹이)에 둥지를 틀고, 물가 근처에서 생활.

  • 겨울에는 결빙이 덜 되는 하천이나 호수에 무리를 지어 서식.


3. 먹이

  • 잡식성.

  • 여름: 수생식물 씨앗, 풀, 도토리, 열매 등 식물성 먹이를 주로 섭취.

  • 겨울: 물속 곤충, 작은 연체동물, 민물고기 등을 보충.

  • 한국에서는 도토리나 밤 같은 참나무류 열매를 즐겨 먹는 것으로 알려짐.


4. 번식 습성

  • 번식기: 4월~7월.

  • 나무 구멍이나 바위틈, 심지어 인공 둥지 상자에서도 번식.

  • 암컷이 912개의 알을 낳고, 약 2830일간 품음.

  • 부화 후 새끼는 둥지에서 바로 뛰어내려 물가로 이동(높은 나무에서도 뛰어내릴 수 있음).

  • 수컷은 초기에는 새끼 돌봄에 참여하지만, 곧 깃갈이(털갈이)를 위해 무리를 떠나기도 함.


5. 행동과 생태

  • 활발하고 경계심이 강함.

  • 낮에는 물 위에서 헤엄치거나 먹이를 찾고, 밤에는 나무 위에서 휴식.

  • 다른 오리류와 달리 짝짓기 습성이 강해 옛날부터 “금슬 좋은 부부의 상징”으로 여겨짐.

    • 실제로 일부일처 경향이 강하나, 완전히 평생 짝을 유지하는 것은 아님.


6. 생태적 역할

  • 씨앗 확산자: 도토리, 나무 열매를 먹고 퍼뜨리는 역할.

  • 수생생태계 건강 지표: 오염된 수역에서는 잘 서식하지 않음 → 깨끗한 물과 숲이 공존하는 곳에서 번성.

  • 문화적 가치: 한국과 중국에서 부부금슬, 사랑, 화합의 상징으로 오래 전부터 회화·문학·민속에 등장.


정리하면, 

원앙새는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아름다운 물새로, 숲과 물가를 오가며 씨앗 확산과 생태계 건강 유지에 기여하고, 동시에 문화적·상징적 의미로도 큰 가치를 지닌 새입니다.


서식 가능한 물 환경은?



원앙새가 선호하는 물 환경

1. 수질

  • 깨끗한 물을 가장 선호함 → 탁하거나 오염된 수역에서는 잘 살지 않음.

  • 유속이 너무 빠르지 않은 곳이 적합.


2. 수역 형태

  • 강·하천: 수풀과 숲이 가까운 완만한 하천.

  • 호수·저수지: 주변에 나무가 많고 얕은 수초 지대가 있는 곳.

  • 늪지·연못: 먹이가 풍부하면 이용.


3. 수심

  • 얕은 수역(보통 1m 이하)을 선호.

  • 잠수형 오리처럼 깊게 들어가 먹이활동을 하지 않음 → 얕은 물에서 씨앗, 수생곤충, 작은 물고기 등을 채집.


4. 식생 조건

  • 수생식물이 많아야 함 → 물수세미, 마름, 부들, 갈대 등.

  • 물가에 참나무류 숲, 버드나무 숲이 있어야 번식·먹이·피난에 유리.

  • 도토리, 밤, 열매 등 공급원 역할.


5. 주변 환경

  • 물가 근처에 큰 나무가 있어야 함 → 원앙은 나무 구멍에 둥지를 트는 “나무 위 번식 오리”임.

  • 숲과 물이 함께 있는 복합 생태계가 가장 이상적.


✅ 정리:


원앙새는 깨끗하고 얕은 물이 흐르는 강이나 호수, 저수지와 같은 곳에서 잘 살며, 주변에 숲이 있고 도토리나 열매가 풍부한 환경을 좋아합니다. 숲+물+수초가 함께 있는 곳이 가장 좋은 서식지 조건이에요.



서식가능한 물을 등급으로 매기면?



원앙새 서식 가능 수질 등급


최적 (Excellent)

  • 맑고 깨끗한 1급수~2급수

  • 투명도가 높고, 악취 없음.

  • 수생식물 풍부, 주변에 숲·나무 구멍 있음.

  • 유속이 완만한 강, 작은 하천, 숲이 둘러싼 호수.
    원앙이 안정적으로 번식·월동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.


적합 (Good)

  • 약간 탁한 2급수~3급수

  • 일정 수준의 수질 오염이 있어도 큰 피해 없음.

  • 수초와 곤충, 작은 물고기 존재.

  • 인공 저수지·도시 공원 호수 중 관리가 잘 된 곳.
    번식은 다소 제한될 수 있으나 월동·먹이활동 가능.


한계적 (Marginal)

  • 3급수~4급수 수준.

  • 수질이 탁하거나, 유기물 오염(부영양화)으로 녹조 발생.

  • 먹이는 있으나 산란·번식 불리.

  • 둥지 터가 부족(숲이 적음).
     장기간 서식은 어려우며, 일시적 먹이터로만 이용.


부적합 (Unsuitable)

  • 4급수 이하, 심한 오염수역

  • 악취·기름막·공장폐수 유입, 수생식물 거의 없음.

  • 주변 숲이 파괴되어 은신처 부족.
     원앙이 서식하지 못함.


핵심 정리

  • 원앙은 1~2급수 수준의 맑고 얕은 물에서 가장 잘 살며,

  • 숲 + 수초 + 깨끗한 물 세 가지 조건이 함께 갖춰져야 안정적인 서식 가능.

  • 수질이 나쁘면 먹이는 찾을 수 있어도, 번식지(큰 나무 구멍) 부족과 오염으로 장기 서식은 불가.

 
 
 
 
 
 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Total 75건 1 페이지
Healing 목록
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
75 최고관리자 125 09-10
74 최고관리자 127 09-10
73 최고관리자 126 09-10
72 최고관리자 107 09-10
71 최고관리자 116 09-10
70 최고관리자 126 09-08
열람중 최고관리자 129 09-08
68 최고관리자 127 09-08
67 최고관리자 120 09-07
66 최고관리자 124 09-07
65 최고관리자 116 09-07
64 최고관리자 126 09-07
63 최고관리자 119 09-07
62 최고관리자 120 09-07
61 최고관리자 125 09-07

검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