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국지(三國志) |
|
삼국지(三國志)는 중국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(위‧촉‧오)까지 약 100여 년간의 역사와 인물들의 활약을 다룬 역사서이자, 소설로도 널리 알려진 작품입니다.
여기서는 역사와 소설 두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드릴게요. |
|
1. 삼국지(三國志) – 역사서
-
저자: 진수(陳壽)
-
시기: 서진 시대(3세기 후반)에 편찬
-
내용: 실제 역사에 기반해 삼국(위‧촉‧오)의 정치, 군사, 인물 등에 대해 서술함
-
구성: ‘본기’ 없이 인물 중심의 ‘열전’ 형태로 서술 (위서, 촉서, 오서로 구성)
|
|
2. 삼국지연의(三國志演義) – 소설
|
|
3. 주요 인물
|
인물 |
설명 |
---|
|
유비(劉備) |
촉한의 황제. 덕과 의리를 중시. 백성 중심의 정치 이상을 품음. |
|
조조(曹操) |
위나라의 실질적 창시자. 냉정한 현실주의자이자 유능한 정치가, 군사 전략가. |
|
손권(孫權) |
오나라의 군주. 장기적 안목과 안정을 중시한 통치자. |
|
제갈량(諸葛亮) |
유비의 책사. 뛰어난 전략가, 충성과 지혜의 상징. ‘지략의 화신’. |
|
관우, 장비 |
유비의 형제와 같은 부하. 충성심과 무용의 상징. |
|
4. 삼국지의 줄거리 요약
-
후한 말기의 혼란
-
삼국의 형성
-
삼국의 대립
-
적벽대전: 유비와 손권 연합이 조조를 격파
-
삼국의 균형과 전쟁 지속
-
제갈량의 북벌 시도 → 실패
-
통일로 가는 길
-
촉이 멸망하고, 오도 결국 위에 흡수됨
-
서진(진나라)이 삼국을 통일함
|
|
삼국지의 의의
-
역사적 가치: 중국 고대의 권력 투쟁과 인간 군상의 복잡한 면을 보여줌
-
문학적 가치: 인간의 감정, 전략, 정치, 전쟁, 우정 등 다양한 요소가 풍부
-
영향력: 한국,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큰 영향 → 드라마, 게임, 만화, 영화 등에서 자주 재현
|
|
|
|
|
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