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삼고초려(三顧草廬)"
페이지 정보

본문
"삼고초려(三顧草廬)" |
"삼고초려(三顧草廬)"는 중국 삼국지에 나오는 고사성어로, 유비(劉備)가 제갈량(諸葛亮)을 세 번이나 찾아가 마침내 모셔오게 된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. 이 고사에는 인재를 얻기 위해 끈기 있게 정성을 다하는 자세가 담겨 있습니다. |
유래 |
시기: 중국 후한 말기, 삼국시대 초 인물: 유비(蜀한의 초대 황제)와 제갈량(유비의 책사, 훗날 재상) |
이야기 개요 |
유비는 조조와 손권 같은 강력한 세력들에 맞서기 위해 뛰어난 책사를 찾고 있었습니다. 이때 **제갈량(孔明)**이라는 뛰어난 인재가 있다는 말을 듣고, 그의 초가집을 찾아갑니다. |
-첫 번째 방문: 제갈량은 집에 없었습니다. 유비는 돌아갑니다. -두 번째 방문: 또 만나지 못합니다. 유비는 실망하지 않고 다시 돌아갑니다. -세 번째 방문: 마침내 제갈량을 만나게 되었고, 유비의 진심에 감동한 제갈량은 그의 책사가 되기로 결심합니다. |
이 일화를 "삼고초려", 즉 "세 번 초가집을 찾아감"이라고 하며, 인재를 얻기 위해 정성을 다하는 태도를 뜻하게 되었다, |
- 인재를 귀히 여기고 예우하는 자세 - 한 사람을 진심으로 대하고 신뢰를 얻기 위한 노력 - 겸손함과 인내심의 중요성 |
문헌 출처《삼국지(三國志)》 - 진수(陳壽) |
- 이전글도교(道敎)와 도가사상(道家思想) 25.07.25
- 다음글영혼을 갈아 만든 5000년 유럽 역사 한번에 다보기 25.07.25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