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OP

인물

Welcome to our website.....

살아있는 갈대(The Living Reed)》 - 펄벅(박진주)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최고관리자
댓글 0건 조회 24회 작성일 25-08-13 14:26

본문

1부 – 조선 말기 (19세기 말~1900년대 초)

  • 배경: 조선은 내부적으로 부패하고 외부로부터는 청·일·러 세력의 압박을 받는 시기.

  • 주요 인물:

    • 김가(양반 가문): 이야기의 중심 가족.

    • 아버지 김진구: 유학자이며 민족의 독립을 지키려는 인물.

    • 아들 김한수: 아버지의 이상을 이어받지만, 더 현실적 시각을 가짐.

  • 전개:

    • 개화파와 수구파의 갈등, 동학농민운동, 청일전쟁의 여파가 묘사됨.

    • 주인공 가족은 나라를 살리기 위해 개혁을 원하지만, 권력 싸움과 외세의 개입에 절망.


2부 – 일제강점기 (1910~1945)

  • 한수 세대:

    • 일본의 식민 통치 아래에서 독립운동에 뛰어듦.

    • 한수의 아내와 자녀들도 서로 다른 길을 선택 — 일부는 독립운동, 일부는 생존을 위해 협력.

  • 주제:

    • 가족의 분열 = 민족 내부의 분열.

    • 펄 벅은 일본 통치의 억압과 동시에 조선인의 저항 정신을 세밀히 그립니다.

  • 중요 장면:

    • 독립운동 조직 회의, 3·1 운동, 만주·상하이로의 망명.

    • 한수의 절친이 고문으로 사망하는 장면은 작가 특유의 인도주의 시각이 드러남.


3부 – 해방과 분단, 한국 전쟁 (1945~1953)

  • 해방 직후:

    • 한수와 후손들은 해방의 기쁨도 잠시, 남북 이념 대립에 휘말림.

    • 북으로 간 친척과 남에 남은 가족이 연락이 끊김.

  • 한국 전쟁 발발:

    •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지고, 일부는 전사, 일부는 피난민으로 남.

    • 한수의 손자 세대가 주인공으로 부각되며, 다시 “뿌리를 지키는 삶”의 의미를 고민.

  • 결말:

    • 많은 희생 후에도 살아남은 가족 구성원들은, 바람 속에서 꺾이지 않는 갈대처럼 다시 뿌리를 내림.

    • 마지막 장면에서 손자가 “우리는 살아남았다. 우리는 갈대다.”라고 독백.


작품의 특징

  • 역사 교과서 + 가족 드라마 구조

  • 한국의 자연·사계절·풍습에 대한 묘사가 매우 세밀함 (펄 벅이 현지 취재한 흔적)

  • 외국 작가임에도 민족주의적 공감대를 담아 한국인들의 감정을 잘 살림


한 문장 요약

《살아있는 갈대》는 조선 말기부터 한국 전쟁까지 약 60여 년을, 한 양반 집안의 흥망성쇠를 통해 그린 한국 근대사의 대서사시입니다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Total 12건 1 페이지
인물 목록
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
열람중 최고관리자 25 08-13
11 최고관리자 27 08-13
10 최고관리자 31 08-13
9 최고관리자 33 08-08
8 최고관리자 35 08-08
7 최고관리자 50 07-29
6 최고관리자 42 08-04
5 최고관리자 35 08-07
4 최고관리자 51 07-28
3 최고관리자 45 07-25
2 최고관리자 41 07-25
1 최고관리자 34 07-26

검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