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rine

YOUTUBE

해양

Welcome to our website.....

독도 밑 동굴에서 발견된 충격적인 뼈 무덤의 정체 | KBS 20111027 방송 일본...독도강치를 무참히 살육 ...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최고관리자
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5-08-13 17:34

본문




일제강점기 이전과 이후 일본이 독도 주변에서 저지른 강치(바다사자) 학살 사건과 관련 있습니다.



1. 강치(바다사자)란?

  • 학명: Eumetopias jubatus

  • 북태평양, 특히 일본 홋카이도, 러시아 사할린, 한국 동해 연안에서 서식

  • 몸길이 2~3m, 수컷은 3톤까지 성장

  • 어업 보호·가죽·기름·고기 이용 목적으로 포획됨


2. 독도와 강치

  • 독도는 동해 한가운데 위치한 섬으로, 과거에는 강치의 주요 서식지였습니다.

  • 강치는 울릉도, 독도, 일본 홋카이도 등지에서 번식했지만, 특히 독도에서 번식 개체가 풍부했습니다.


3. 강치 학살 배경

  1. 일제강점기 경제적 목적

    • 1900년대 초, 일본은 강치의 가죽, 기름, 고기 등을 상품화

    • 일본 어부·사냥꾼들이 독도와 울릉도 주변으로 진출

    • 독도는 당시 무인도 상태라 접근이 용이했음

  2. 무차별 포획

    • 1900년대 전후 일본은 독도 강치를 거의 전멸 수준으로 포획

    • 기록에 따르면 20세기 초에는 강치가 울릉도·독도에서 완전히 사라짐

    • 포획 방법은 덫, 총, 작살 등 무차별적이며, 새끼와 어미 가리지 않음

  3. 생태·문화적 영향

    • 강치 전멸로 독도 생태계 큰 변화

    • 독도 주변 해양 생태계 균형 파괴

    • 한국 민속에서도 바다사자는 울릉도·독도와 관련된 신앙·이야기 소재였으나, 일본 포획으로 사라짐


4. 역사적 의미

  • 일본의 강치 학살은 단순한 경제적 착취를 넘어, 생태적·문화적 파괴로 이어졌습니다.

  • 독도 역사 연구에서, 강치 학살 사건은 일본의 독도 침탈 전후 활동을 보여주는 사례로 자주 언급됩니다.


요약:

  • 강치는 독도 주변에서 번식하던 해양 포유류

  • 일본은 일제강점기 초, 가죽·기름 목적 무차별 포획

  • 20세기 초 독도 강치는 사실상 멸종

  • 이 사건은 경제적 착취뿐 아니라 독도 생태와 문화적 가치 파괴로 이어짐



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Total 2건 1 페이지

검색